본문 바로가기
40대아저씨의 작은의견

2022년 4월 부동산 시장 현황

by 옆동네친구아빠 2022. 4. 30.
728x90
반응형

2022년 4월 부동산 시장 현황을 살펴보고자 한다.

 

결론부터 말하면 기본적으로 관망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볼수있다

 

3월 수도권을 비롯한 지방 광역시 아파트 가격은 대출규제 및 금리인상등에 따른 관망세확대로 전월에 이어 하락시장을 형성하였으며, 비수도권 지역도 상승폭이 축소되며 보합에 근접한 형태를 보였다

 

주택가격에 대한 기대(6개월후)는 새로운 정부의 부동산 규제완화 정책의 기대감이 반영되어 전월대비 7포인트 상승한 104를 기록하였다.

지도를 보면 알수있듯이 서울 경기를 비롯한 광역시의 아파트 매매가격 지수는 거의 변동이 없는 상태를 보여주고 있으며,  토지매매가격만이 0.25이상 0.5 미만의 상승폭을 보여주고 있다.

대선때 국민의힘에서 말했던.. 부동산 정책 실패라는 단어가 있었다

왜 나는 이번 문재인 정부에서 말하는 부동산 정책이 이제야 실현되는 것같은 느낌이 드는 것일까?

조금만 더 조이면, 버티지 못한 갭차이 물량 및 투자물량들이 나올것이고, 그러면 하락세를 보일듯하였는데..

정책이라는 것을 잘은 모르지만,

하루 이틀, 한두달만에 성과가 나오는 것은 아니라했다.

특히나 재산에 관련된 부분에 대해서는 말이다.

 

우리나라와 같이 특히나 집에대한 집착이 있고, 집을 재산으로 보는 시각에서는 더욱 말할것도 없다.

누가 자신의 재산이 줄어드는 것을 좋아할것인가?

한국은행에서 발표한 자료를 보면, 경기전망은 코로나 확산 등의 영향으로 점차 축소되는 것을 볼수 있으며,

주택 가격역시 조금씩 낮아지는 그래프를 확인할 수 있다.

나 역시 일반 서민이라 주택을 구매할때 대출을 끼고 구매를 하였다.

그에따라 주택 담보대출 금리가 올라가는 것을 보면.. 정말 가슴아프다.

 

하지만 여러가지 투기를 잡아야 해서 올려야 한다면, 나는 마땅히 따를 것이다.

아쉬운 것이 없진 않지만.. 지금도 따르고 있고..

조금은 더 세밀하게 조정하고, 정리해서 정책을 적용하였다면 더 좋을듯하지만 말이다.

주택담보대출액 및 금리, 연체율 추이를 보면, 주택 담보대출액은 전월대비 1.2조원 증가하였고, 1년을 기준으로 약 2배정도 늘어났다.

대출금리 역시 2.64%에서 3.86%로 상승하고 있는 것도 확인할수 있다.

 

수도권 주택매매시장 소비자심리지수는 조금씩 상승하는 현상이 보이고 있고, 수급동향역시 상승하는 현상을 볼수있다.

주택유형별로는 단독주택이 전월대비 0.21% 상승하였고, 연립은 0.04% 상승, 아파트 매매만이 0.06% 상승세를 보였다.

 

아파트를 조금 더 자세히 살펴보면  40m2이하는 전월대비 0.06% 상승하였고, 135m2이상에서는 0.05%상승, 102~135m2이하는 0.02%상승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월 전국 주택매매거래량은 전월대비 3.52%증가 하였고, 아파틑 매매거래량은 0.07% 감소를 확인할수 있다.

전국 오피스텔 매매가격은 85m2이상의 중대형 오피스텔이 상승세를 견인하여, 전월대비 0.04% 상승하였다

 

수도권 오피스텔의 전월세전환율은 4.97%, 지방은 5.71% 등의 상승세를 확인할 수 있다.

 

전국 주택의 전월세 거래량은 17.3% 증가한 24만건을 기록하였다.

이부분은 조금은 더 살펴봐야 하는 것이, 전월세 거래량이 증가하였다는 것은, 집을 구하기가 힘들어 졌다는 현상을 반영하는 것일 수 있기때문이다.

 

집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매매물량을 시장에 안풀고 있는 것이고, 이 현상은 새 정부의 부동산 규제 완화 정책에 기대감을 가지고 있기때문이기도 한 것이다.

전국 주택 인허가실적은 전월대비 23% 감소한 30,514호로 발표되었고 주택 착공실적은 25,504호로 전월대비 35.3% 증가한 것으로 확인 되었다.

하지만 전년동월대비하여 주택 인허가실적은 9.3% 감소, 주택착공실적은 39.7% 감소하였다.

 

전국 아파트 평균 청약경쟁률은 9.1대 1이고

전국 아파트 평균 분양가격은 3.3m2 당 1,474만원으로 확인되었다. (서울은 3,086만원 / 제주는 1,928만원 / 대구는 1,910만원)

전국 아파트의 미분양물량은 25,254호로 전월대비 3,527호 증가하였고, 준공 후 미분양 물량은 소폭 감소한 것을 확인 할수 있다.

 

전국 토지가격지수는 전월대비 0.29% 상승한 106.1로 상승세를 지속하고 있다

토지에 대한 투자가 건물이나 주택에 대한 투자심리보다 높은 것으로 짐작할수 있다.

 

토지시장 소비심리지수(수도권)는 전월보다 3.3% 증가한 103.8을 기록하였다

부동산 시장 전망지수 ( RESI / Real-Estate-survey-index )

- 토지주택연구원에서 전국의 부동산분야 전문가와 종사자를 대상으로 향후 3개월후의 주택, 전세, 토지의 가격 및 거래 전망을 조사하여 산출한 지수로써 100이하면 하락을 100이상으면 상승을 의미한다.

 

가격전망을 살펴보면

주택 매매가격전망지수는 98.2 

주택 전세가격전망지수는 102.4

토지 매매가격전망지수는 102.1

 

거래전망을 살펴보면

주택 매매거래전망지수는 92.9

주택 전세거래전망지수는 97.4

토지 매매거래전망지수는 95.9

 

등으로 부동산 시장 전망지수는 확인할수 있다.

 

투자를 하는 분들은 꼭 알아두어야 할 정보일듯 하여 정리하여 포스팅 하였다.

 

새 정부가 곧 출시할 예정인 상황에서... 4월까지는 관망세를 유지하고 있는 부동산시장에서...

조금은 더 투자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

 

오늘도 더 멋진 아빠이고 싶은 옆동네친구아빠였습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